자동차 정기검사 예약 방법 | info

자동차 정기검사 예약 방법

자동차 정기검사 예약 방법과 검사 비용, 과태료까지 총정리! 아래의 링크에서 빠르게 신청하세요!



1. 예약 방법

- 온라인 예약: 한국교통안전공단 사이버검사소 접속 → 차량번호·생년월일 입력 → 검사소·날짜·시간 선택 → 결제 후 완료
- 모바일 예약: 스마트폰으로 사이버검사소 접속 후 동일 절차
- 전화 예약: 1577-0990으로 상담원 연결 후 예약
- 민간 검사소 이용: 공단 검사소 외 민간 지정정비사업자에서도 검사 가능, 일부는 예약 없이 방문 가능


2. 예약 시 유의사항

- 평일·토요일 모두 전면 예약제 운영 → 사전 예약 필수
- 예약 변경/취소: 사이버검사소에서 가능
- 조기 마감: 인기 시간대는 빨리 마감되므로 미리 예약
- 결제: 신청 후 30분~1시간 내 결제해야 확정


3. 검사 관련 정보

- 검사 주기:
· 비사업용 승용차: 신차 등록 후 4년, 이후 2년마다
· 사업용 승용차: 신차 등록 후 2년, 이후 1년마다
· 경형/소형 승합·화물차: 매 1년
- 검사 가능 기간: 유효기간 만료 90일 전부터, 만료 후 31일까지
- 준비물: 자동차 등록증, 보험가입 증명서 (전산 확인 가능 시 불필요)
- 검사 종류: 정기검사, 종합검사, 튜닝검사, 임시검사


4. 검사 비용

차종별 수수료 (공단 기준):
- 경차: 정기 17,000원 / 종합 48,000원
- 소형: 정기 23,000원 / 종합 54,000원
- 중형: 정기 26,500원 / 종합 56,000원
- 대형: 정기 29,000원 / 종합 65,000원
※ 민간 검사소는 비용 상이



5. 과태료

- 검사기간 내 미검사 시 과태료 부과
· 30일 이내: 4만원
· 30일 초과: 4만원 + 31일 이후 매 3일마다 2만원 추가 (최대 60만원)
· 115일 이상: 60만원 고정


6. 추가 정보

- 검사 전 점검: 등화장치, 타이어, 오일, 냉각수 확인 시 재검사 예방
- 이륜차 검사: 2025년 4월 28일부터 의무화, TS 자동차검사소에서 예약 필수
- 민간 앱 예약: 카카오T, 네이버, 신한 마이카 등에서도 예약 가능
- 편의 서비스: 캐롯손해보험, 휘슬 앱 등 픽업 검사 대행 서비스 지원


7. 자주 묻는 질문(FAQ)

Q1. 예약 없이 검사 가능한가요?
A. 공단 검사소는 전면 예약제지만, 일부 민간 검사소는 예약 없이도 가능합니다.

Q2. 예약 취소 시 환불되나요?
A. 예약 취소 시 결제는 전액 환불되며, 사이버검사소에서 처리 가능합니다.

Q3.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의 차이는?
A. 정기검사는 기본 안전·환경 검사, 종합검사는 추가 배출가스·부하검사 포함입니다.

Q4. 검사 유효기간을 넘기면 바로 과태료가 부과되나요?
A. 만료 후 31일까지는 유예기간으로 검사 가능하지만, 이후부터 과태료가 적용됩니다.



8. 마무리

자동차 정기검사는 안전과 환경을 지키기 위한 의무 절차입니다. 사이버검사소에서 간편하게 예약하고, 기한 내 검사를 완료해 과태료 부담을 피하시길 바랍니다.


다음 이전